안녕하세요!
돈 되는 정보를 알아가는
월억연구소입니다.
다양한 머니 파이프라인을 원하는 분들이라면
블로그를 모르는 분은 없겠죠.
블로그, 그중에서도 티스토리 시작하고 기본 세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국내 블로그의 양대산맥인 티스토리와 네이버 중 본인의 블로그 운영 목적에 맞게 플랫폼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티스토리 시작 및 세팅 방법을 간단히 요약하자면
1. 티스토리 아이디 만들기
2. 티스토리 블로그 세팅하기
3. 서치 사이트 등록 (네이버, 구글)
그럼 위 순서대로 차근차근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마음이 바쁘신 분들은 1 ~ 2번까지만 하셔도 됩니다!!)
1. 티스토리 아이디 만들기
- 티스토리 아이디 생성 / 블로그 개설 -
우선 티스토리 공식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우측 상단의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
카카오계정 혹은 티스토리 계정으로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로그인 후 안내사항에 따라 '닉네임 / 블로그 이름 / 블로그 주소'를 설정합니다.
2. 티스토리 블로그 세팅하기
- 블로그 관리 / 카테고리 관리 / 스킨 변경 -
다시 티스토리 사이트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하게 되면
우측 상단에 아이콘이 있습니다.

이 아이콘을 클릭하면 운영 중인 블로그 목록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현재 한 아이디당 5개의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이제 세팅하고자 하는 블로그 이름 우측의 톱니 모양을 클릭합니다.
그럼 아래 이미지와 같이 방문수 하나 없는 깨끗한 블로그 설정 관련 페이지가 뜨게 됩니다.
페이지의 좌측에는 설정과 관련된 항목들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각 항목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작업들이 있지만
우선 기본 세팅에 필요한 내용만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관리 탭의 '블로그' 아이콘을 클릭하게 되면
본인만의 '블로그 이름, 닉네임 수식어, 블로그 설명'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아이콘, 파비콘은 우선 스킵!)
다음은 본격적으로 글을 등록하기에 앞서
본인이 관리할 글을 묶어줄 카테고리를 추가해 보겠습니다.
콘텐츠 탭의 '카테고리 관리 버튼'을 클릭합니다.
'+ 카테고리 추가'를 클릭하여 본인이 원하는 카테고리를 생성합니다.
(이후 글을 작성 시, 생성한 카테고리 하위로 정리가 가능합니다)
마지막으로 블로그의 옷을 입혀주는 단계인 블로그 스킨을 설정하여 보겠습니다.
꾸미기 탭의 '스킨 변경'을 클릭하여 티스토리에서 제공하는 목록 중 취향에 따라 스킨을 설정합니다.
각 스킨 위에 마우스를 올려놓으면(클릭 x)
적용했을 때의 모습을 미리 보기 혹은 바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만 해도 티스토리 블로그를 시작하는 기본 세팅은 충분합니다.
이제는 하나씩 글을 쓰며 그때그때 필요한 내용들을 찾아가며 적용해나가시면 됩니다.
3. 서치 사이트 등록 (네이버, 구글)
- 네이버 및 구글의 검색창에 내 글이 노출되도록 설정 -
위 단계까지만 설정하고 바로 글 쓰기를 시작해도 되지만,
기왕 세팅을 시작한 만큼 조금만 더 고생해서
주요 검색 포털인 네이버와 구글에서도 검색되도록 추가 세팅하겠습니다!! 하겠습니다!!
추가 세팅(사이트 등록)을 하기 위해서는 하나 이상의 글이 필요합니다.
각 잡고 작성하실 필요 없고 간단히 인사글 정도로 등록해 주세요!
(인사 글 정도 간단하게 등록해주시면 됩니다!!!
설마 위 예시처럼 간단히라는 글자 그대로 복사하시는 분은 없겠죠...?)
3.1 서치 사이트 등록 - 네이버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를 검색합니다.
로그인 후 '웹마스터 도구' 버튼을 클릭합니다.
사이트 등록 창이 나오면
본인의 티스토리 주소를 입력 후 우측 화살표를 클릭합니다.
위에서 우측 화살표를 클릭하면
사이트 소유확인 단계로 넘어가게 됩니다.
'HTML 태그'를 클릭한 후 파란색 박스 안의 글자를 복사합니다.
다시 티스토리 블로그 설정으로 돌아와서 '스킨 편집' 버튼을 클릭합니다.
스킨 편집 창이 나타나면 우측 상단에 'html 편집' 버튼을 클릭합니다.
빨간 네모 박스 안에 (<head>와 </head> 사이)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서 복사한 HTML 태그를 붙여 넣기 해줍니다.
(아래 이미지의 파란색 네모 박스 부분)
붙여넣기 후 우측 상단의 적용 버튼을 클릭!
다시 네이버 서치어드바이 페이지로 돌아와서 '소유확인'버튼을 클릭하여 보안 글자 및 숫자를 입력하면 소유확인 완료 팝업이 생성됩니다.
완료 후 아래와 같이 등록된 사이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등록된 티스토리 주소를 클릭합니다.
요청 탭의 'RSS 제출 버튼'을 클릭합니다.
'본인 티스토리 주소/rss'를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제출된 RSS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요청 탭의 '사이트맵 제출' 버튼을 클릭하여
'본인 티스토리 주소/sitemap.xml'를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사이트맵을 등록합니다.
rss와 마찬가지로 제출된 사이트 맵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웹 페이지 최적화' 버튼을 클릭하여
우측의 확인 버튼을 눌러줍니다.
(이번에는 별도로 입력할 내용 없이 바로 확인 버튼 클릭!!!)
위와 같이 robots.txt 항목에 '!' 알람이 떠있지만
잠시 시간이 지난 후 재확인하면 정상 표시되니 걱정할 필요 없습니다.
여기까지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등록 완료!!!
3.2 서치 사이트 등록 - 구글
구글 서치 콘솔을 검색합니다.
'URL 접두어' 유형에서 티스토리 주소를 입력 후 계속 버튼을 클릭합니다.
확인 방법 중 'HTML 태그 '를 클릭, 복사 버튼을 클릭합니다.
다시 티스토리 스킨 편집 화면으로 돌아가 파란 네모 박스와 같이
<head>와 </head> 사이에 복사한 내용을 붙여 넣어줍니다.
구글 서치 콘솔로 돌아와 완료 버튼을 누르면
'소유권이 자동으로 확인됨' 팝업이 생성됩니다.
'속성으로 이동' 버튼을 눌러 아래와 같이
Sitemap 등록 페이지로 넘어옵니다.
새 사이트 맵 추가 항목에 위치한
티스토리 주소란의 URL 뒤에 /rss와 /sitemap.xml을 입력 후 제출 버튼을 클릭합니다.
제출 버튼 클릭 후 위와 같이 제출된 사이트맵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sitemap.xml의 경우 가져올 수 없음 알람이 생성되기도 하는데,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다시 확인하면 /rss와 마찬가지로 성공 상태로 잘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구글 서치콘솔 등록 완료!!!
=================================
1. 티스토리 아이디 만들기
2. 티스토리 블로그 세팅하기
3. 서치 사이트 등록 (네이버, 구글)
위 과정들을 진행해 보았습니다.
스크롤 압박 때문에 과정이 많고 복잡해 보이지만
막상 해보면 5~10분 안에 가능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귀찮으신 분들은
사실 1 ~ 2번 과정 이후 바로 글쓰기를 시작하고,
3번 과정인 서치 사이트 등록 및 기타 설정들은 추후에 시작해도 됩니다.
기본적으로 필요한 설정들은 완료하였으니
이제 규칙적인 업로드만 남았네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