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부동산 관련 잡다한 이야기

부동산 거래 현황 및 통계 자료 확인 방법 (거래량 확인)

by 월억가자 2022. 10. 11.
반응형

투자 시, 중요한 요소 중 거래량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매매거래는 물론 전월세 거래량에 따라서도 전망이 달라지곤 합니다.

크게 매매/전월세 거래량을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해드리고자 합니다.

 

1. 매매 거래 확인

1.1 부동산통계뷰어
(https://www.reb.or.kr/r-one/statistics/statisticsViewer.do?menuId=LHT_65010)

1.2 Kosis 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index/index.do)

1.3 부동산지인
(https://aptgin.com/home/gin04/gin0402)

 

2. 전세 거래 확인

(← 전월세신고제는 2021년 6월 1일부터 시행 / 미뤄뒀던 신고 & 미신고 등 아직 시계열 데이터 신뢰 어려움 (데이터 기준 : 확정일자 신고))
(임대차3법 - 계약갱신청구권(20.07.31 시행) / 전월세상한제(20.07.31 시행) / 전월세신고제(21.06.01 시행 ← 23.05.31 까지 계도기간)

2.1 서울부동산정보광장
(https://land.seoul.go.kr:444/land/rent/rentStatistics.do)

2.2 경기부동산포털
(https://gris.gg.go.kr/deal/selectDealamountView.do)

2.3 부동산지인
(https://aptgin.com/home/gin04/gin0402)

 

 


 

1.1 부동산 통계뷰어 (매매 거래 확인)

  • 관리 : 국토교통부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 (국가 승인통계)
  • 특징 : 원하는 각종 통계자료 설정 가능
  • 장점 : 시각적으로 즉시 확인 편리
  • 단점 : 사이트 접근성

부동산 통계뷰어 - 거래 현황

 

1.2 Kosis 국가통계포털 (매매 거래 확인)

  • 관리 : 국토교통부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 (국가 승인통계)
  • 특징 : 원하는 각종 통계자료 설정 가능,  시군구별 원하는 데이터 별도 취합 용이
  • 장점 : 데이터 다운로드 후 원하는 방식으로 변형하기 편리함
  • 단점 : 즉시 시각적으로 활용하기에는 불편

Kosis 국가통계포털 - 거래 현황

 

1.3 & 2.3 부동산 지인 (매매 거래 & 전세 거래 확인)

  • 관리 :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데이터
  • 특징 : ‘부동산통계뷰어 & Kosis 국가통계포털’ 자료와 약간의 오차 (국가 승인통계 아님)
  • 장점 : 접근성 좋음, 면적별 등 다양한 기능
  • 단점 : 세부지역별, 기간 설정은 프리미엄 결제 필요한 것으로 보임

부동산 지인 - 거래량

 

2.1 서울부동산정보광장

  • 관리 : 공식 통계가 아닌 참고용 자료 (임차인 확정일자 신고 취합 / 계약일자 기준)
  • 특징 : 부동산 거래현황 데이터로 공식통계 아님 (전월세 거래는 국가 승인통계 아직 없음)
  • 장점 : 구별 데이터 다운 가능
  • 단점 : 기간 설정에 제약 (1년 기간 or 연도별 조회), 표 형식이라 가시성 떨어짐

서울부동산정보광장 - 거래 현황

 

2.2 경기부동산포털

  • 관리 : 공식 통계가 아닌 참고용 자료 (승인 및 적정 판정된 자료 취합 / 계약일자 기준)
  • 특징 : 부동산 거래현황 데이터로 공식 통계 아님 (전월세 거래는 국가 승인통계 아직 없음)
  • 장점 : 그래프로 바로 확인 가능, 시군별 데이터 별도 다운 가능
  • 단점 : 기간 설정에 제약 (1년 기간 or 연도별 조회)

경기부동산포털 - 거래 현황

 

 

 

(참고로 국토교통부 보도자료(/월별 발간)에서도 한국부동산원 데이터를 기반으로 거래현황을 보도하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 전국 주택 거래 현황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