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부동산 가격의 급격한 상승이 이어지고 있다. 다만 최근 대구와 세종을 비롯한 몇몇 지역의 하락이 시작되고 있지만, 전체적인 상승세가 꺾인 것으로 보기는 힘들다.
잠깐의 부동산 가격 상승 추세가 멈춘다고 한들, 월급을 모아 부동산을 비롯한 실물자산을 살 수 있을까?
아래 과거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판단할 때, 그럴 수 없을 가능성이 훨씬 크다.
2006년 이후의 부동산 가격 변화와 국민 소득, 통화량의 변화를 함께 비교하여 보자.
아래 데이터를 보면 06년도 이후 가장 큰 증가량을 보이는 것은 통화량이다. 다만 아래 그래프를 보면 최근 들어 급격한 증가세를 이룬 부동산 가격 및 통화량을 고려한다면, 일반적인 직장인의 월 급여 증가 대비 상대적 박탈감은 매우 큰 폭으로 증가하였을 것이다.
또한 본 포스팅 아래에 첨부한 06년도 이전 데이터를 고려한다면, 소득 증가(90년 이후, 약 8배 상승) 대비 통화량의 증가(90년 이후, 약 37배 상승)는 물가상승률(90년 이후, 년 평균 3.43%)과 함께 고려한다면 훨씬 크다.
이는 통화량의 엄청난 증가세에 비해, 소득의 증가 폭은 그에 훨씬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거기에 물가 상승률까지 고려한다면 실제 소득의 가치는 더욱 낮아지는 것을 뜻하기 때문이다.
이를 이해한다면 단순히 통장에 찍힌 계좌 총액만을 볼 것이 아니라 내가 가진 자산의 가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중점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현금의 가치는 떨어지고, 실물 자산의 가치는 점차 올라갈 것이다)
2006 이후 부동산 가격, 국민 총소득, 통화량 변화
(아파트 가격 참고 자료가 2006년 이후인 것을 감안하여 2006년 이후 데이터 일괄 취합)
(2006년 이전 데이터는 포스팅 아래 참조)
부동산 가격 | ||
변화
1인당 명목 국민총소득(만 원) 변화
협의 통화 변화
[ 2006년 이전 데이터 참고 ]
통화량
1960년 이후 협의 통화 및 광의 통화량 변화
(협의 통화(M1) : 쉽게 유동화할 수 있는 통화(현금통화 + 요구불예금 및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
(광의 통화(M2) : M1 + 시장형 상품, 실적 배당형 상품 등)
1990년 이후 협의 통화 변화
(1990/01 대비 2021/09월 협의 통화 37배 상승)
소비자 물가상승률(%)
1966년 이후 소비자 물가상승률 변화
1990년 이후 소비자 물가상승률 변화
(1990~2020 물가상승률 평균 : 3.43%)
(2000~2020 물가상승률 평균 : 2.33%)
(2010~2020 물가상승률 평균 : 1.61%)
명목 국민 총소득
1965-2020 명목 국민 총소득 변화
1990-2020 명목 국민 총소득 변화
(1990 대비 2020년 명목 국민총소득은 8배 상승)
자료 출처 : e-나라지표,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아실
'부동산 > 부동산 기본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기본 상식 - 아파트란? (주상복합아파트/도시형생활주택/오피스텔) (0) | 2022.01.12 |
---|---|
오피스텔(아파텔)과 생활형숙박시설(레지던스)에 대하여 알아보자 (개념 및 차이점) (0) | 2021.12.15 |
입주권 및 분양권의 의미와 차이점 (0) | 2021.12.06 |
좋은 입지를 찾아보자 - 경기도의 광역 버스(빨강버스, M버스, BRT) (0) | 2021.11.28 |
부동산 기본 상식 - 로열층, 로열동에 대해 (0) | 2021.1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