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B 국민은행 리브부동산(21년 10월 기준)이 밝힌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 가격은 12억 원, 아파트 전세 가격은 6억 5천을 돌파했다. 평균 매매가격이 12억이라면 최고가 아파트들은 가격은 도대체 얼마나 할까? 그리고 이런 초고가 아파트들은 어디에 있을까?
최고가 아파트 순위
아래 표는 '아실'의 순위분석 기능을 통해 올해(21. 1월 ~ 11월) 거래된 아파트의 실거래가를 기준으로 나열한 것이다.
입주시기가 7~80년대인, 재개발을 고려하여 가격이 형성된 아파트(5위 구현대6, 7차 / 6위 한양8차 / 8위 반포주공1단지 / 10위 현대1,2차)를 제외하고 본다면 아래와 같은 공통점이 있다.
위치는 한강을 끼고 있는 강남/서초/용산/성동구, 가격은 65~85억, 크기는 약 90~100평형의 대형 평수 아파트다.
순위 | 아파트명 | 가격 | 평형 | 위치 | 입주 |
1 | 상지리츠빌카일룸3차 | 85억 | 101 평 | 서울 강남구 청담동 | 2009년 |
2 | 갤러리아포레 | 84.5억 | 99평 | 서울 성동구 성수동1가 | 2011년 |
3 | 나인원한남 | 84억 | 100평 | 서울 용산구 한남동 | 2019년 |
4 | 한남더힐 | 80억 | 100평 | 서울 용산구 한담동 | 2011년 |
5 | 구현대6,7차 | 80억 | 80평 |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 1979년 |
6 | 한양8차 | 72억 | 67평 |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 1984년 |
7 | 타워팰리스2차 | 68억 | 98평 | 서울 강남구 도곡동 | 2003년 |
8 | 반포주공1단지 | 65억 | 41평 | 서울 서초구 반포동 | 1973년 |
9 | 반포자이 | 65억 | 91평 | 서울 서초구 반포동 | 2008년 |
10 | 현대1,2차 | 64억 | 63평 |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 1976년 |
[참고] 최고가 아파트가 84㎡ 라면?
사실 위의 90~100 평이라는 크기는 일반적으로 감이 안 오는 수치이다. 따라서 국민 평형대로 알려진 전용면적 84㎡(공급면적 약 32~35평형)로 환산하여 계산해보자.
90~100평 → 32~35평, 즉 대략적인 가격 환산을 위해 1/3 수준으로 매매가를 변환한다면, 1위인 상지리츠빌카일룸3차는 약 28억, 9위인 반포자이는 약 22억 정도로 환산된다. (물론 이런 식의 단순 환산은 매우 일차원적인 계산으로, 참고용으로만 보길 바란다)
참고 자료 : 서울특별시, 아실
반응형
'부동산 > 부동산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사람들의 자산과 부채, 순자산은 얼마나 있을까? (feat. 2021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0) | 2021.12.17 |
---|---|
양도세 비과세 기준 9억 원에서 12억 원으로 상향, 변경 적용 (12월 8일부터) (0) | 2021.12.07 |
부동산 이슈 - 임대차 3법이란 무엇일까 (0) | 2021.11.18 |
부동산 이슈 - 수도권 인구 변화와 3기 신도시 (0) | 2021.11.17 |
부동산 이슈 - 21/11/16 (0) | 2021.11.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