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기 신도시 토지보상과 관련하여 '계획대로 입주가 가능할 것인가?'에 대한 우려가 점차 커지고 있다. 2021년 11월 현재 3기 신도시 공공주택지구 중 토지보상이 완료된 토지는 한 곳도 없으며, 아직 시작조차 못한 곳이 절반 이상이다. 이러한 관련 각종 우려 사항은 우선 뒤로하고, 우선 '3기 신도시란 무엇인가'부터, '수도권 인구 변화'와 함께 살펴보자.
3기 신도시?
정부가 추진중인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방안]의 일환으로
수도권 주택시장 및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해 계획한 공공주택지구
3기 신도시 개발은 규모에 따라 신도시와 대규모 택지로 예정되어 있다.
- 신도시 (330만 m² 이상)
- 남양주왕숙·왕숙2, 하남교산, 인천계양, 고양창릉, 부천대장, 광명시흥, 의왕·군포·안산, 화성 진안 - 대규모 택지 (100만 m² 이상)
- 과천과천, 안산장상, 인천구월2, 화성봉담3
[참고]
1평 = 약 3.3m² / 1m² = 약 0.3평
330만 m² = 약 100 만 평
100만 m² = 약 30 만 평
수도권 인구 변화
인구수의 절대적인 감소로 인해 추후 부동산 가격 하락을 점치는 의견들이 있다. 이는 본 포스팅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해당 내용에 대한 의견은 생략하고, 우선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의 인구 변화에 대해 알아보자.
아래 이미지는 아실에서 제공하는 인구변화 데이터다. 아실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 중 하나이므로, 방문하여 여러 유용한 기능들을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서울의 인구수 변화
경기도의 인구수 변화
인천의 인구수 변화
2021년 현재 수도권의 인구는 '서울 - 953만 명 / 경기도 - 1355만 명 / 인천 - 295만 명'이다.
부동산 기본 상식 - 대한민국 행정구역 및 인구수
안녕하세요! 돈 되는 정보를 알아가는 월억연구소입니다. 본 카테고리에서는 부동산 투자를 위한 기본, 기초 상식들을 쌓아나가려 합니다. 첫 번째로, 오늘은 우리나라의 행정구역에 대하여 알
million-money.tistory.com
위의 세 그래프를 비교하면 각 지역의 대략적인 인구수 변화 추세를 알 수 있다.
- 서울 : 감소 추세
- 경기도 : 증가 추세
- 인천 : 증가 후 유지
이러한 추세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겠지만 높은 서울 집값과 교통수단의 발전이 직접적인 요인일 것이다. 또한 3기 신도시는 GTX를 통해 '교통수단'이라는 요인에 직접적인 수혜를 받는 지역이다.
부동산 투자를 할 때, 가장 기본적인 고려사항은 수요와 공급이다. 위 데이터는 향후 짧지 않은 기간 동안은 경기도의 인구 증가, 즉 수요를 예상하고 있다. 이번 3기 신도시의 경우 가파르게 올라버린 부동산 가격으로 인해 국민들의 시선이 더욱 집중되고 있다.
이미 올라버린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생각한다. 장기적으로 화폐가치의 하락 등 실물 가치는 점차 높아질 수밖에 없다. 다만 국가 정책을 통한 상승 곡선의 기울기는 조정이 필요하다. 3기 신도시 정책이 일조할 수 있을지 천천히 지켜보자.
참고 사이트 : 3기 신도시, 아실
'부동산 > 부동산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사람들의 자산과 부채, 순자산은 얼마나 있을까? (feat. 2021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0) | 2021.12.17 |
---|---|
양도세 비과세 기준 9억 원에서 12억 원으로 상향, 변경 적용 (12월 8일부터) (0) | 2021.12.07 |
최고가 아파트는 얼마? 어디에? (2021년 최고가 아파트 1~10위) (0) | 2021.11.19 |
부동산 이슈 - 임대차 3법이란 무엇일까 (0) | 2021.11.18 |
부동산 이슈 - 21/11/16 (0) | 2021.11.16 |
댓글